안녕하세요. 오늘은 어쩌다 알게된 가상화폐로 몇 백 억 부자가 된 사람(A)과의 대화를 정리하면서 어떻게 공부를 하고 투자해야할지 정리를 하기 위해 이 글을 쓰게 됐어요.
1. 비트코인 투자를 해야하는 이유, 이것만 알면 투자가 수월하다
가. 비트코인의 4년 반감기 사이클
나. 기관이 왜 비트코인(BTC)을 모으는지에 대한 고찰
다. 과거 법정화폐가 망한 이유와 망하는 데까지 걸린 시간
코인으로 부자가 된 A의 경우 이 3가이 지유를 들어 비트코인에 대한 투자가 허상이 아니고 투자로서의 가치가 있다고 보고 있었어요. 이중에서 비트코인의 반감기 사이클에 대한 내용들은 시중에 많은 책들에서도 소개되고 있어요. A 외에 비트코인 투자로 부자가 된 베스트 셀러이신 분 역시 BTC의 반감기를 이용해서 큰 수익을 낼 수 있다고 책에 소개하고 있어요. (비트코인의 특성상 4년마다 채굴의 갯수가 50% 씩 줄어들기 때문에 점점 가치가 높아진다, 즉 희소해진다. 이 시기에 맞춰 비트와 이더를 주워서 3~50% 토막나도 물타면서 두다 보면 수익이 난다, 그럼 1년뒤 쯤 거기에 5~10배의 수익이 난다고 부연 설명)
그리고 세계적인 금융가를 비롯한 각종 기관들이 BTC에 대한 투자를 하면서 한창 뉴스들이 많이 나왔었는데요. 그런 기관들이 바보가 아니고서야 BTC를 괜히 사모으는 것이 아니다는 의미겠죠? 혹자는 허상이다, 인간이 의미를 부여하면서 생겨낸게 가상화폐이고 언제든지 백지가 될 수 있다고 우려와 투기라며 걱정어린 목소리를 내지만. 이익을 낼 수 있는 곳에 무엇보다 빠르게 대처하는 금융가에서 BTC를 괜히 사모으는게 아니다... 그런 의미입니다.
그리고 세번째 이유. 법정화폐가 망한 이유와 망하는 데까지 걸린 시간을 보면 가상화폐에 투자할 가치가 있다고 얘기했어요. 엘살바도르가 비트코인을 법정화폐로 쓴다고 화재가 됐었고, 인플레의 지속으로 화폐가치가 종잇장이 되면서 베네수엘라가 이오스를 화폐로 사용하고 있다는 소식도 전해졌어요. 이 부분에 대해 자세히 묻지는 않았지만 조금더 공부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돼요.
잠깐이지만 얘기를 나눴던 A님은 2016년부터 공부를 했다고 했는데요. 오랜 시간 공부하면서 믿음을 갖고 투자를 했고 설명을 해주셨어요. 그렇게 200억에 가까운 수익을 얻었다고 했어요. 간단하게 저 세가지만 알면 투자가 쉽다고 얘기했지만, 항상 그렇듯 결론 외에 그 결론을 내기까지의 과정, 즉 추론의 과정을 스스로가 정리하면 좋을 듯 합니다. 저도 이렇게나마 간단히 정리하면서 자료를 찾아보고 했네요.
A님의 경우 이더리움을 22년에 1500~2000만원까지 보고 있고 23년에 다시 빙하기가 찾아와 300~500만원이 오면 또 주워서 고점을 향해갈때 팔고 하는 식의 투자로 간단하게 벌 수 있는데.. 이게 초급자에게 추천하는 방법이었어요. 공부하다가 알게된 것은 우리나라에서는 코인이 사기와 도박 판이라고 인식이 크지만 미국 기관이나 개인들의 경우 노후 대책으로 사모으기도 한다는 것이 참 재밌게 대조된다고 전했어요. 아래 기사를 함께 참고하면 좋을 것 같아요.
美 휴스턴 연기금도 비트코인·이더리움 매입 - 연합인포맥스
(뉴욕=연합인포맥스) 윤영숙 특파원 = 휴스턴의 소방 퇴직연금이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매입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날 비트코인 가격은 코인 메트릭스 기준 오후
news.einfomax.co.kr
미국이 바보가 아니다, 장투로 보는거다. 돈이 급하지 않으면 묵히라고 전했어요. 향후 코인의 상승기를 2021년 어딘가에서 상승이 시작되어 2022년 어딘가에서 폭락을 맞고, 그 이후 4년의 주기를 만들기 때문에 25년~26년을 다음 상승과 하락의 시기로 보고 있었어요.
2. 코린이가 암호화폐 공부를 더 하고 싶다면...?
암호화폐 투자에 대한 공부를 더 하고 싶다면 온체인 지표를 공부해보라고 했어요. MVRV라고 유튜브를 치면 그거 보고 매수존 오면 무릎이기에 그때부터 사면 되고 그 지표 보고 과 매수 구간이 오면 그게 광기 사이클이니깐 팔면 된다고 하더라고요.
저도 온체인 지표가 뭔지 잘 몰라서 검색해봤는데, 아래 기사를 같이 보도록 해요^^
http://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71883
암호화폐 투자를 위한 온체인 지표 5가지 - 코인데스크 코리아
누구든지 온체인 데이터를 볼 수 있어 암호화폐 시장을 분석하는 것이 전통 금융시장을 분석하는 것보다 쉬워 보일 수 있다. 그러나 그와 동시에 현재와 미래의 가격 동향을 추정하기 어렵게 하
www.coindeskkorea.com
※ 온체인(on-chain)이란? 블록체인 거래를 기록하는 방식 중 하나로,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모든 전송 내역을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방식이다. 반면 오프체인(off-chain)은 블록체인 밖에서 거래 내역을 기록하는 방식으로, 이는 온체인에서 해결하지 못하는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뤄진다. - [네이버 지식백과] 블록체인 관련 용어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투자자 중에 온체인을 파는 사람은 소수라고 하면서 아래 유튜브를 소개해주더라고요. 뭔 소리인지 몰라도 꼭 그냥 들어보면서 감을 익히면 도움이 될 거라고... 같이 들으실 분?
https://youtube.com/watch?v=imE5PzAjtWk
여기까지 익힌 후에 텔레그렘이나 트위터 유명한 분들의 이야기를 받아 보면서 해외 유망 코인에 초기 진입하는 것을 추천했어요~ 우선 시드는 비트나 이더로 먼저 늘리라고...
3. 시드를 늘린 다음에 해야할 것들은?
코인 VC(투자기업)을 검색해서 그 회사들의 포트폴리오를 따라가도 돈을 벌 수 있다고 해요(장기 투자로 간다면). 헤시드 a16z 등을 치면 나오고 고로치라는 사람의 카페를 가입해서 온체인이나 코인의 경향을 보면 고수가 된다고...! 하지만 그 과정까지 터득하려면 굉장히 많은 시간의 공부가 습득 되어야 보일 거라고 하네요. 눈이 뜨이는 순간 신세계일 거라고.. 뭔지 잘 모르지만 열심히 받아 적으면서 이렇게 글을 쓰고 있네요^^;
알려준 유튜버와 더불어 차트공부까지 추천! 아무리 좋은 주식과 코인이여도 기회비용이라는게 있어서 어디서 사냐가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전했어요. 물론 존버할 거라 치면 풀매수해도 될 거라고.
이때가 2~3주 전쯤이었던 것 같은데.. 그 당시로는 투자하기가 애매한 구간이라고.. 미국 스탠스가 중국은 금리를 내리고 미국은 올리려고 하고.. 마지막 한 발이 남았거나 하락장 시장 초입이거나 갈림길이라고 봤는데.. 지금은 또 상황이 바뀌었으니 이후의 정세와 판단은 저와 이 글을 읽으시는 여러분의 몫일 것 같네요.
유튜브에 마이클세일러가 비트를 사는 이유에 대해 검색해서 보는 걸 추천했는데 전세계 비트 1위 보유 회사라고 하네요.
그리고 제가 부동산을 사는 것을 이야기 했을 때에, 비트코인과 금, S&P500의 수익률을 보여주면서 이것만 봐도 부동산 보다 코인을 해야한다는 걸 알 수 있다고 하더라고요.
3. 나의 투자습관에 맞는 포트폴리오를 찾아 보자!
저는 단타에는 자신없고 주로 오래 보유하고 투자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사실 크게 오르거나 크게 떨어진다고 일희일비하지도 않기 때문이에요. 그런 투자 습관을 얘기하니 그렇다면 23년이나 24년 하락장에 비트 40%, 이더리움 30%, 솔라나 20%, 디센트럴랜드 10%로 포트를 구성해서 갖고 있는 것을 추천하더라고요. 솔라나와 디센트럴랜드 모두 생소한 코인이었어요. 특히 디센은 더 그랬는데, 메타버스의 대장이라고 하더라고요. 현재 삼성전자와도 협력관계를 구축해 운영 중인 걸로 알고 있어요.
이 포트폴리오 자체가 그래이스케일 포트폴리오라고 하는데 그 포트폴리오로 올라간건 의미가 크다 해요. 정기적으로 SEC에 보고해야하기 때문에.. 법적으로 인정받아 나스닥 etf로 될 가능성이 크다고 하네요.
길지도 짧지도 않은 대화를 나누었었는데 정리하니 이정도가 되네요. 얘기했던 것들을 더 찾아보고 정리해서 다음 글을 또 쓸 수 있도록 할게요!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인 투자를 위한 기초, 블록체인이란 (0) | 2022.02.13 |
---|---|
경제경영도서, 저는 주식투자가 처음인데요 - 벤저민 그레이엄 투자 (2) | 2022.02.11 |
경제경영도서, 저는 주식투자가 처음인데요 - 피터 린치의 투자 (0) | 2022.01.30 |
지역별 정비사업 정보 홈페이지 모음 (0) | 2022.01.14 |
지적재조사에 관하여 (0) | 2022.01.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