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코인 투자를 위한 기초, 블록체인이란

by HR센터 2022. 2. 13.
반응형

블록체인이란

비트코인은 이제 사람들에게 많이 알려진 암호화폐이자 가상화폐예요. 사실 화폐의 기능을 하고 투자의 대상으로 알려진 비트코인도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개발자가 고안한 기술이라 해요. 사토시 나카모토는 비트코인:P2P 전자화폐 시스템이란 논문에서 비트코인을 P2P(Peer to Peer)를 통해 거래 당사자 사이에서만 오고 가는 전자화폐로 정의했는데, P2P(Peer to Peer) 네트워크로 이중 지불을 막아준다 해요. 이때, P2P 네트워크로 이중 지불을 막는데 쓰이는 기술을 블록체인이라 이해할 수 있다 합니다. 

 

블록체인에 대한 기본 정의를 정리해보면, 관리를 해야 하는 소규모 데이터들(Block)이 P2P 방식을 기반으로 체인 형태로 연결되어 분산 데이터 저장 환경에 블록을 저장하여 임의로 위변조 할 수 없도록 하는 분산 컴퓨팅 기술 기반의 원장 관리 기술이라고 해요. 

 

분산원장기술(DLT: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이란 노드(node: 분산 네트워크 참여자)가 암호화 기술을 사용해 거래 정보를 검증하고 합의한 원장(ledger)을 공동으로 분산, 관리하는 기술이에요. 중앙에서 관리하거나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과 달리, 데이터 관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분산 네트워크 내 peer가 거래 정보를 합의 알고리즘에 따라 서로 복제하여 공유하는 기술이랍니다.

 

새로운 분야에 대해 공부를 하다 보니 모르는 말들이 많이 나오는데요, 합의 알고리즘(consensus algorithm)이란 분산원장 sys 내 모든 node가 일관성 있는 분산 원장을 보유할 수 있게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새로운 기록의 공유와 검증, 추가 등에 대해 전체적 동의를 이끌어 내는 알고리즘을 의미합니다.

 

우리는 전문가가 아니니 이정도의 정의를 정리해두고 들어가 보자고요! 다시 블록체인 기술로 돌아와서..

 

블록체인 기술의 활용

이런 블록체인 기술은 대부분의 암호화폐(Cryptocurrency)에 쓰이고 있는데요. 거래들이 정부나 금융사 등과 같이 중앙에서 그런 거래를 저장하고 관리하지 않고 탈중앙화 된 전자장부에 쓰이기 때문이에요. 블록체인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많은 사용자들의 각 컴퓨터 서버가 운영되어 은행과 같은 중앙화 된 장부가 없어도 서로 간에 거래가 가능할 수 있답니다. 기존의 전자화폐들이 거래 시 중앙 서버에 기록을 저장해 오는 것과 다르게 블록체인은 모든 사용자에게 거래 기록을 보여주고 비교해서 위변조를 막는 형태이죠.

 

 

제주 최초 '건입동 블록체인 기반 DID 비대면 주민의견 수렴’시스템 구축 - 제주환경일보

제주시 건입동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센터장 김외솔)와 주민협의체(위원장 강두웅), ㈜크립토나이트(대표 현수영)은 오는 23일 건입동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 주차장에서 ‘건입동 블록체인 기

www.newsje.com

위의 기사에서와 같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는데 쓰기도 하고 있어요. 저희 회사에서도 그런 프로젝트를 준비 중이기도 했고요, 금융이나 계약 등에도 쓰이고 있다 해요.

 

저는 부동산과 관련된 일을 하다 보니 이 기술이 부동산과는 어떻게 융합되어 쓰일지도 궁금해서 이것저것 알아보던 중 최근에 나온 책으로 '블록체인을 활용한 부동산 대체투자'라는 책도 있더라고요. 다음 번에 꼭 읽어보고 후기를 갖고 올게요.

 

 

 

* Naver 지식백과 - 시사상식사전, ICT 시사상식 2017 참고하여 쓰여진 글입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